홈택스 현금영수증 조회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우키입니다.
연말 정산할 때 제가 현금영수증 취소 건이 몇 개 있었던 게 기억이 나기도 했고
최근 현금영수증 발급받은 걸 계산을 좀 했습니다.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모바일, PC) 현금영수증 조회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엄청 어렵지도 않고 공인인증서 or 간편 인증 한 번 이면 바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단, 당일 조회는 불가하고 다음날 오전 9시 이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현금영수증이란?
정부의 목적은 탈세를 막기 위한 것입니다. 현금 거래는 전산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국세청 감시가 불가능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금을 내는 소비자에게 탈세를 감시하는 역할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입장 목적은 소득공제입니다. 소비자들은 상품의 가격을 지불하면서 부가가치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부가가치세는 물건을 살 때 무한정 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만 내는 것입니다. 더 많은 부가가치세가 연말에 정부에 의해 상환됩니다. 그런데 중간에 거래하는 상점에서 세금을 빼돌리는 상점이 있고, 소비자들은 상점이 다른 결제에서 빼돌리는 세금을 내기도 합니다. 1000원짜리 제품을 사더라도 1000원짜리 현금영수증이 나오지 않으면 나중에 100원의 세금을 더 내야 하기 때문에 1100원에 사는 겁니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신용카드 매출전표 등 세액공제를 부가가치 세법상 세액공제로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영수증 발급 대상 사업자를 운영하거나 전년도 총공급 가격이 4,800만 원 이하인 단순 납세자에 대해서는 해당 세기 간 공급대가에서 1.3%를 공제합니다.
현금영수증은 신용카드 단말기의 견인율을 높이는 일등공신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현금영수증을 가장 쉽게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은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하는 것인데 이번 법 개정으로 신용카드 회원가입 행정지도 기준과 현금영수증 의무기준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같이 보기 좋은 글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 휴대폰 번호 등록하는 방법 ◀ 바로가기
카카오와 네이버를 쉽게 인증하는 방법 ◀ 바로가기
우리은행 계좌이체 확인증 인쇄 방법 ◀ 바로가기
국민은행 계좌이체 인증서 인쇄 방법 ◀ 바로가기
연금저축펀드 ETF 추천 및 PR과 TR을 차이 ◀ 바로가기
ISA, IRP, 연금저축펀드, 주택청약 차이점과 추천 방법 ◀ 바로가기
현금영수증 발급 조회하는 방법
STEP.1 홈택스 홈페이지 ▶ 조회/발급 클릭해 줍니다.

STEP.2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조회 클릭 ▶ 사용내역(소득공제) 조회 눌러줍니다.


STEP.3 일별, 주별, 월별로 조회 및 조회 기간 선택 후 조회하기 클릭해 줍니다.

※사용내역 조회가 안 되는 분은 읽어주세요.
현금영수증 > 현금영수증 소비자 발급 수단 관리 화면에서 카드, 휴대전화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세요.
당일 현금영수증 발행 내역은 다음 날 조회 가능합니다.
영수증에 "현금(소득공제)"나 "현금(지출증빙)"이 반드시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전통시장 사용 여부는 전통시장 해당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통시장 주소를 제출받아 사용내역을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역 조회

*[발급 수단] 항목은 현금영수증 발행 시 사용한 휴대전화 번호, 카드번호 등의 마지막 4자리 숫자만 보입니다
*최근 37개월 거래내역만 조회 가능합니다
*현금영수증 자료 구축에 따라 매일 04:00~05:00 경 조회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 등록한 현금영수증 발급 수단(휴대전화 번호, 현금영수증카드번호, 멤버십 카드번호 등)으로 발급받은 거래내역만 조회됩니다.
*등록하지 않고 사용 중인 발급 수단도 등록한 다음 날 최근 36개월 거래내역이 본인에게 반영됩니다.